프리코스 1번째 주 - 1일차 데일리 회고

2024. 10. 15. 22:43우아한테크코스 - 프리코스/회고

우아한 테크코스

 

학습 과정

 

우테코 프리코스 1일차를 진행하면서 개발 환경 세팅을 하고 프로그래밍, 기능, 과제 진행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작년 프리코스를 진행하고 오랜만에 해보는 것이라 약간 헤매고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시간을 많이 지체했다. 어떤 방식으로 해야 효율적일지 많이 고민 했지만 고민 보다 역시 무작정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일단 시작해서 방법을 찾기로 하였다.

 

 

잘한 점

 

프리코스를 진행할 때 도움이 될 만한 방향과 지켜야 할 사항이 무엇이 있을지에 대해 생각했던 것이 유익했다. 아래는 기능 요구 사항을 분석하면서 작성한 사항들이다. 생각난 것들을 그때그때 적은것이 그 일을 하는 데에 있어서 동기부여를 강화하고, 세세한 것들을 놓치지 않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앞으로도 공부할 때 생각난 발상이나 염두에 두어야 할 것들을 바로바로 기록해두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1. 앞서 제시된 기능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2.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반드시 빠짐없이 만들어야 하는 기능 리스트를 만들자
  3. 기능 별 최우선 순위는 우테코에서 제시한 기능 요구 사항이다.
  4. 우테코에서 제시한 문항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구심, 질문, 분석을 시도하자.
  5. 고민의 흔적을 통해 메타인지 및 몰입했다는 것을 티내자. (리드미 및 소감문 혹은 데일리 회고)
  6. 이를 통해 공부한 내용은 최종 코딩 테스트의 자원이 된다. 기능 구현했다고 멈추지 말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노력하자.
  7. 세번의 리팩토링을 거쳐야 하는 것을 고려해서 시간 분배를 잘 하자.
  8. 사용자가 최대한 편하려면 어떤 기능들이 있어야 할까?
    • 리팩토링 과정에 투자해야 하는 시간도 고려해서 기능을 너무 많이 만들려고는 하지 말자.
  9. 소감문을 고려하자. 양보다 질, 눈에 띄게! , 내가 지금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인식하고 느끼면서 메타인지를 활용하자. → 소감문에서 눈에 들어올만큼 양질의 경험을 해야 함. (이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가독성이 첫 째)
  10. 우테코라는 동기부여 요소를 잘 활용해서 성장하자.
    • 우테코라는 동기부여의 힘이 배움의 원동력에 큰 비율을 차지한다.
  11. 기능 요구 사항을 고려할 때에는 다른 종류의 요구 사항에 대한 깊은 생각은 일단 배제하자. 기능 요구 사항에 집중하자. 어떤 것이 기능 요구 사항을 고려하는 생각인지 잘 인지하고 그 부분을 위주로 고민해서 나아가자.
  12. 기능 요구 사항의 방향을 잘못잡으면 프로그래밍이 어려워지지 않을까? 그렇게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결과적으로 느낀 감정이나 생각

 

아직 프리코스 첫째 주 첫날이라 어떤 것을 해야할지 감이 안 잡히기도 하고 너무 많은 것들을 해야할 것 같은 느낌에 압박감이 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우선순위를 정해서 가장 중요한 것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려 한다. 시간 배분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오늘은 여러모로 헤매는 시간이 많았던 것 같아 시간을 잘 활용하지 못해 아쉽다. 다음에는 시간과 학습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나에게 맞는 계획 및 목표를 설정하도록 해야겠다. 또한 회고도 어떤 식으로 작성해야 효율적이고 나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지 나에게 적절한 작성 방법을 터득해 나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