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온 x 포스코 KDT 풀스택 웹 개발 과정 1주차 후기 - git bash 명령어, github

2023. 12. 26. 19:49코딩온x포스코 KDT 풀스택 웹 개발 11기

 

 

 

 

오늘은 코딩온 KDT 풀스택 웹 개발 과정 1일차이다.

OT와 함께 개발환경 세팅, git, github, 각종 명령어 들에 대해 배웠다.

 

첫 날인 OT 날에는 빙고 게임과 자기소개 등으로 긴장감을 느슨하게 풀어주셨다.

게임이 끝나고 개발 맛보기(?)를 해보았는데 오랜만에 git을 다루어봐서 그런지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참고로 나는 협업을 해본 경험은 없지만 git을 약간 배웠던 경험이 있다.

배웠던 내용들을 다시 떠올리고 되새기는 하루가 되었다. 

 

 

 

 

 

< 명령어, 단축키 및 알아두어야 할 단어 목록과 설명 >

  1. CLI : Command-line interface
  2. cd: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로 이동
  3. mkdir: make directory
  4. 참고) ~는 home을 의미
  5. ls: (list segment)목록 확인
  6. history : 명령어 입력 내역
  7. cd github
  8. git ci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9. git cinfig —global user.name “프로필 이름”
  10. git ci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주소”
  11. git cinfig —global --list : 앞의 옵션들이 잘 들어갔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12. Create a new repository: 새로운 저장소 생성
  13. public(모두 볼 수 있음) vs private(초대하면 볼 수 있음)
  14. readme - 정보 알리미(프로젝트의 목적, 규칙 등을 다른 개발자들에게 알리기 위함) → 필수사항은 아님
  15. Repository 가져오기 - clone(github 사이트에서 코드 버튼 누른 뒤 경로 복사해오기)
  16.  add / commit /push
  17.  git status
  18.  .md: 마크다운(마크업 언어의 일종-문법이 있음 개별적으로 공부하기(3시간 정도))
  19.  ctrl + j : 커맨드 열림
  20. gut status: 파일 상태 확인
  21. 변경사항 ctrl + S 로 저장
  22. git add: 현재 디렉토리의 변경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림
  23. git add . : .의 의미는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림
  24. git commit: -m 옵션으로 커밋 메세지를 함께 남기면서 staging 영역에서 localrepository로 옮김(변경 작업을 로컬 저장소에 기록!)
  25. git push : (로그인 요청 올 수 있음) 원격 저장소 (remote repository)에 코드 변경사항을 업로드
  26. git log: git 명령 히스토리(커밋 이력) 조회

 

 

 

 

느낀점

 

아직은 git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명령어들에 대해서도 익숙하지 못한 느낌이 강하다. 

서투른 내 모습이 부족하게 느껴지지만 수업 첫 날, 처음 배우는 수업이니까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고

너무 자책은 하고 싶지 않다. 하지만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명확히 인지하고 보완해나갈 수 있도록 해야겠다.

추가적으로 리더님이 마크업 언어에 대해 공부하면 좋을 것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에

남는 시간에 마크업 언어를 공부해 볼 생각이다. 앞으로 이 부트캠프에서 공부하게 될 나날들이 기대가 된다.

6개월동안 정말, 정말로 열심히 했다고 자부할 수 있을만큼 열심히 해보아야겠다.